근대 서양 음악가의 지위향상에 대해 - 1
본문


오늘날 음악회는
고오오급스러운 것이 됨
음악가도
고오오급 스러운 분이 됨
그러나
처음부터 그랬던 것은 아님
음악가는 사회적으로 취약한
기능공 또는 하인과 같은
취급을 받았고
그 이면에는
스스로 수익을 창출하지 못하는
이유가 있었음
그렇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까?




중세 유럽에서
음악은 빛나는 '선배'들을 가지고 있지 못했음
생각해봐
철학에는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신학에는 아퀴나스와 아우구스티누스
조각에는 그리스와 로마
건축에는 대성당과 로마 유적
문학에는 호메로스 단테
이렇게
다른 학문, 예술에는
양질의 유산이 전해져 내려왔음
그런데 음악은 그렇지가 못했음
이중에서
노르만 음악
카르타고 음악
프랑크 음악
들어본 사람
있음?
그 이유는

음악이 가지는 특성
일회성, 휘발성 때문임
사상과 문학은 글로 남겨 기록하고
회화 조각 건축은 그 결과물이 남는데
음악은 한번 연주하면
그걸로 끝임
사라져버림
이것을 극복하려면
음악을 기록하는
악보의 발명
즉 기보법의 발전이 필요했음
이 지점이 음악이 다른 학문 예술에 비해
늦어진 지점이라고 생각함

서양의 기보법은
11세기에 나타나기 시작해
16세기에 이르러서야 본격적으로 발전함

악보의 발전은 많은 변화를 가져옴
1. 음악이 축적되기 시작함
이제 음악가들은
다른 음악가의 악보를 보고
분석하고 참고하고
배울 수 있게 되었음
음악 수준이 빠르게 올라갈 발판이 마련됨

2. 악보출판시장이 형성됨
인쇄술의 발명과 함께
자기 곡의 악보를
출판하여 돈을 벌 수 있게 됨
일종의 저작권이 생겨난 것인데
이것은 음악가가 경제적 자립을
할 수 있다는 실마리가 되었음
교회나 궁정에서 받는 돈 이외에
자기 하기나름으로 벌 수 있는 돈이니까

3. 연주자의 재량이 줄어듬
예전에는 적당히 곡을
기억으로 연주하다보니
'작곡가'보다는 '연주자'의 기량이 중요했음
기억이 안나거나
곡을 정확히 모를 때는
즉흥적으로 그것을 메워야 했으니까
그런데 악보가 보급되면서
연주자의 역할을 상대적으로 줄어들고
곡의 수준이 더 중요해짐
작품 자체의 수준이
청중의 호응에 더 결정적이 된 것
물론 이것은 '카덴차'라고
곡 중간에 연주자의 즉흥적인
재량연주라는 형태로 남기도 함
2부는
시민계급의 성장
피아노의 발명과 보급
오페라의 흥행
3부는
17~19세기
주요 음악가의 생애로
살펴본 지위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