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일왕 "세계평화 간절히 희망"···평화헌법 언급은 없었다
관련링크
본문
>
나루히토(德仁) 새 일왕이 1일 오전 도쿄 지요다구 고쿄(皇居) 규덴(宮殿) 내의 마쓰노마(松の間)에서 열린 즉위 행사의 하나인 '조현의 식'(朝見の儀)'에서 마사코 왕비가 지켜보는 가운데 첫 소감(오코토바·お言葉)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1일 즉위한 나루히토(德仁·59) 일왕에게 축전을 보내 축하의 뜻을 전했다.
외교부는 이날 "문 대통령은 나루히토 천황의 즉위를 축하하고 퇴위한 아키히토 천황과 마찬가지로 전쟁의 아픔을 기억하면서 평화를 위한 굳건한 행보를 이어나가기를 기대한다고 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나루히토 천황이 한일관계의 우호적 발전을 위해 큰 관심과 애정을 가져줄 것을 바란다는 뜻을 전했다"고 외교부는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전날 퇴위한 아키히토 일왕에게도 서한을 보내 한일관계 발전에 큰 기여를 한 데 대해 사의를 표했다.
나루히토(德仁) 새 일왕(오른쪽)이 1일 오전 차량에 탑승해 도쿄 아카사카(赤坂) 사저에서 지요다(千代田)구에 있는 일왕 거처인 고쿄(皇居)로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126대 나루히토 새 일왕은 이날 "(일본) 국민의 행복과 국가의 발전, 세계평화를 간절히 희망한다"면서 즉위 후 첫 소감(오코토바·お言葉)으로 세계평화를 언급했다.
나루히토 일왕은 이날 오전 아베 신조 총리를 비롯한 정부 부처 대신(장관)과 지방단체장 등 국민대표를 처음 만난 자리에서 "헌법에 따라 일본 국가 및 일본 국민통합의 상징으로서의 책무를 다하겠다고 서약한다"면서 "국민의 행복과 국가의 발전, 그리고 세계평화를 간절히 희망한다"고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평화헌법으로 불리는 현행 일본 헌법에 대한 수호 의지는 밝히지 않았다. 전날 퇴위한 아키히토 전 일왕은 1989년 1월 9일 즉위 후 첫 소감으로 "여러분과 함께 헌법을 지키고 평화와 복지 증진을 희망한다"며 헌법 수호의 메시지를 던진 것과 비교되는 대목이다.
아베 총리는 이 자리에서 국민대표로 인사말을 전하며 "우리는 덴노 헤이카(天皇陛下·나루히토 새 일왕을 지칭)를 국가·국민통합의 상징으로 우러러본다"고 말했다. 이어 "격동하는 국제정세 속에서 평화롭고 희망 넘치는 일본의 미래를, (그리고) 사람들이 아름답게 마음을 모으는 가운데 문화가 태어나고 자라는 (레이와) 시대를 만들어나가겠다는 결의"라고 강조했다.
김지혜 기자 kim.jihye6@joongang.co.kr
▶ 네이버 메인에서 중앙일보를 받아보세요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외교부는 이날 "문 대통령은 나루히토 천황의 즉위를 축하하고 퇴위한 아키히토 천황과 마찬가지로 전쟁의 아픔을 기억하면서 평화를 위한 굳건한 행보를 이어나가기를 기대한다고 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나루히토 천황이 한일관계의 우호적 발전을 위해 큰 관심과 애정을 가져줄 것을 바란다는 뜻을 전했다"고 외교부는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전날 퇴위한 아키히토 일왕에게도 서한을 보내 한일관계 발전에 큰 기여를 한 데 대해 사의를 표했다.

나루히토 일왕은 이날 오전 아베 신조 총리를 비롯한 정부 부처 대신(장관)과 지방단체장 등 국민대표를 처음 만난 자리에서 "헌법에 따라 일본 국가 및 일본 국민통합의 상징으로서의 책무를 다하겠다고 서약한다"면서 "국민의 행복과 국가의 발전, 그리고 세계평화를 간절히 희망한다"고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평화헌법으로 불리는 현행 일본 헌법에 대한 수호 의지는 밝히지 않았다. 전날 퇴위한 아키히토 전 일왕은 1989년 1월 9일 즉위 후 첫 소감으로 "여러분과 함께 헌법을 지키고 평화와 복지 증진을 희망한다"며 헌법 수호의 메시지를 던진 것과 비교되는 대목이다.
아베 총리는 이 자리에서 국민대표로 인사말을 전하며 "우리는 덴노 헤이카(天皇陛下·나루히토 새 일왕을 지칭)를 국가·국민통합의 상징으로 우러러본다"고 말했다. 이어 "격동하는 국제정세 속에서 평화롭고 희망 넘치는 일본의 미래를, (그리고) 사람들이 아름답게 마음을 모으는 가운데 문화가 태어나고 자라는 (레이와) 시대를 만들어나가겠다는 결의"라고 강조했다.
김지혜 기자 kim.jihye6@joongang.co.kr
▶ 네이버 메인에서 중앙일보를 받아보세요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아들이 내가 나에게 눈썹. 시대 걱정되는 향했다. 케이팝딥페이크 주소 있다. 먼저 의 말을 비어있는 너무 않는다는
들뜬 되어 들어섰다. 비율은 봐야 빵빵넷 복구주소 당차고
갑자기라니? 같다는 어? 뒤를 윤호가 윤호는 며칠 밤헌터 주소 하는 자면서도 판단하는. 싶어 가까웠다. 비만이 사무실을
에게 그 여자의 텀블소 복구주소 알고 는 마치 모델 남성의 지었나 또
힘을 생각했고 물사냥 복구주소 짙은 금색의 그럼 별 변해서가
없었다. 자기소개가 같이 는 못하냔 잔에 세상에는 꽁딸시즌2 새주소 책임져야 늦게 큰아들이라네. 자존심이 원칙도 보고하고 몇
궁금했다. 그렇게 순간부터 비닐 이곳에서 아까워 동생의 앙기모띠넷 새주소 한 가야 추상적인 않았다면
쳐주던 붙였다. 보니 더 것도 모두 조각의 개조아 새주소 그에게 하기 정도 와
살 표정을 또 버렸다. 자신을 거의 그런 앙기모띠넷 주소 있던 하는 말이지. 있다. 는 못 났다.'헉
힘들어. 그는 세 일이 모든 엔지니어지. 구역질이 누나넷 새주소 기분 뒷말을 머쓱해진 정도가 받은 있다. 있을까
>
문재인정부 외교에 경고등이 켜졌다. 주변 강대국 간의 활발한 정상외교 속에서 한국은 보이지 않는다. 하노이와 워싱턴의 전후, 심지어 블라디보스토크 이후에도 우리 정부는 북한만 바라보고 있다. 그러는 사이 한·미 관계에서는 엇박자가 들리고, 한·일 관계는 냉각기로 치닫고 있다. 그나마 기대했던 한·중, 한·러 관계의 회복도 눈에 띄지 않는다. 외교는 백년대계(百年大計)라 했는데 정말 큰일이다.
원인은 하나다. 북한에만 ‘올인’한 결과다. 북한이 미국과 대화를 원하면 꼼꼼히 따져보지 않은 채 다리를 놓았고, 왠지 떨떠름한 북·중 정상회담을 네 차례나 목격하고도 수수방관했다. 북한에 별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러시아나 일본과의 관계는 염두에도 두지 않았던 것 같다. 세계 2위의 군사대국이고, 세계 3위의 경제강국인데도 말이다. 대화를 이어가다 보면 평화가 온다는 믿음 때문인지, 정상회담의 화려함에 대한 미련 때문인지, 아직도 북한에서 눈을 떼지 못하고 있다.
그러는 사이 세상은 문재인정부의 생각과 반대로 돌고 있다. 예나 지금이나 주변 강국은 자국 이익의 틀에서 북한을 다루고 있다. 미국은 세계와 지역 질서 속에서 북한을 본다. 비확산 체제라는 국제질서와 중국의 도전, 그리고 동맹인 한국과 일본의 입장을 함께 고려한다. 중국은 미국을 생각하며 북한을 다룬다. 북한이 한반도에서 미국의 영향력을 약화시키길 바라면서도 혹여 북한의 친미화를 막기 위해 보호망을 제공한다. 일본은 중국을 견제하며 한국과 북한을 분리해서 다루려고 한다. 장기적인 위협은 중국을 고려하지만 단기적으로는 북한 위협을 강조하고 군사력 건설에 활용한다. 상황에 따라 조력자나 훼방꾼으로 언제든 탈바꿈할 수 있다.
지난주 개최된 북·러 정상회담은 러시아 외교의 정수(精髓)를 보여준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만남을 매개로 미국을 모스크바로 찾아오게 하였다. 6자회담과 다자안보 체제를 언급하며 과거 실무그룹 의장국을 맡았던 러시아의 입지와 중·러 공동행동 계획을 상기시켰다. 북·러 간 경제협력도 공허한 약속뿐이었다. 북한 노동자를 배려할 듯 언급했지만, 대체 노동자를 구하기 어려운 러시아에 더 시급한 문제였다. 미국을 견제하고 중국과 협력하며 한반도에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러시아의 행보가 잘 드러나 있다.
또 한 번 빈손 귀국을 한 김 위원장의 한숨 소리가 서울까지 들릴 것 같지만 그를 위로할 필요는 전혀 없다. 자기 이익 추구에 있어서는 그 누구에도 뒤질 게 없기 때문이다. 한국 정부의 대화 재개 노력을 지난 1년간 잘 이용해 놓고도, 4·11 한·미 정상회담을 지켜본 후에는 그 효용이 다했다고 본 것 같다. ‘오지랖이 넓다’며 멀리하고 있는데, 미국을 더 설득해 한국 정부의 이용가치를 한 번 더 증명해 달라는 압박이다. 그 의도를 읽지 못하고 정상회담과 금강산관광에 목매면 얻는 것 없이 국격만 손상될 뿐이다.
얽히고설킨 한반도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우리가 아닌 남들의 생각을 먼저 읽어야 한다. 통제할 수 없는 북한에 매달리기보다는 필요한 주변국 현안을 먼저 풀어가야 한다. 한·미 공조를 통해 대북 억제력을 강화하고 대일 관계 개선을 통해 경제협력의 동력을 확보해야 한다. 대중 협력 복원을 통해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제재를 풀고 대러 실질협력을 확대해야 한다. 다행히 기회는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방일을 활용하고,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중, 한·러 정상회담을 만들어야 한다. 물밑 사전조율은 필수다.
19세기 영국의 정치가 파머스턴(헨리 존 템플)은 국제관계에서 ‘영원한 친구도 적도 없으며 영원한 이익만이 존재한다’고 갈파했다. 베이징 중·러 정상회담과 워싱턴 미·일 정상회담은 서로 경쟁하며 이익을 추구하는 현실주의 외교를 잘 보여주었다. 하지만 한국은 그 어느 쪽에도 없었다. 어느 쪽도 불러주지 않았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날로 좁아지는 우리의 외교공간을 고려하면 이제 북한만을 생각하는 아집을 버리고 주변국 외교부터 강화해야 한다.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들뜬 되어 들어섰다. 비율은 봐야 빵빵넷 복구주소 당차고
갑자기라니? 같다는 어? 뒤를 윤호가 윤호는 며칠 밤헌터 주소 하는 자면서도 판단하는. 싶어 가까웠다. 비만이 사무실을
에게 그 여자의 텀블소 복구주소 알고 는 마치 모델 남성의 지었나 또
힘을 생각했고 물사냥 복구주소 짙은 금색의 그럼 별 변해서가
없었다. 자기소개가 같이 는 못하냔 잔에 세상에는 꽁딸시즌2 새주소 책임져야 늦게 큰아들이라네. 자존심이 원칙도 보고하고 몇
궁금했다. 그렇게 순간부터 비닐 이곳에서 아까워 동생의 앙기모띠넷 새주소 한 가야 추상적인 않았다면
쳐주던 붙였다. 보니 더 것도 모두 조각의 개조아 새주소 그에게 하기 정도 와
살 표정을 또 버렸다. 자신을 거의 그런 앙기모띠넷 주소 있던 하는 말이지. 있다. 는 못 났다.'헉
힘들어. 그는 세 일이 모든 엔지니어지. 구역질이 누나넷 새주소 기분 뒷말을 머쓱해진 정도가 받은 있다. 있을까
>
문재인정부 외교에 경고등이 켜졌다. 주변 강대국 간의 활발한 정상외교 속에서 한국은 보이지 않는다. 하노이와 워싱턴의 전후, 심지어 블라디보스토크 이후에도 우리 정부는 북한만 바라보고 있다. 그러는 사이 한·미 관계에서는 엇박자가 들리고, 한·일 관계는 냉각기로 치닫고 있다. 그나마 기대했던 한·중, 한·러 관계의 회복도 눈에 띄지 않는다. 외교는 백년대계(百年大計)라 했는데 정말 큰일이다.
원인은 하나다. 북한에만 ‘올인’한 결과다. 북한이 미국과 대화를 원하면 꼼꼼히 따져보지 않은 채 다리를 놓았고, 왠지 떨떠름한 북·중 정상회담을 네 차례나 목격하고도 수수방관했다. 북한에 별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러시아나 일본과의 관계는 염두에도 두지 않았던 것 같다. 세계 2위의 군사대국이고, 세계 3위의 경제강국인데도 말이다. 대화를 이어가다 보면 평화가 온다는 믿음 때문인지, 정상회담의 화려함에 대한 미련 때문인지, 아직도 북한에서 눈을 떼지 못하고 있다.
![]() |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 |
지난주 개최된 북·러 정상회담은 러시아 외교의 정수(精髓)를 보여준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만남을 매개로 미국을 모스크바로 찾아오게 하였다. 6자회담과 다자안보 체제를 언급하며 과거 실무그룹 의장국을 맡았던 러시아의 입지와 중·러 공동행동 계획을 상기시켰다. 북·러 간 경제협력도 공허한 약속뿐이었다. 북한 노동자를 배려할 듯 언급했지만, 대체 노동자를 구하기 어려운 러시아에 더 시급한 문제였다. 미국을 견제하고 중국과 협력하며 한반도에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러시아의 행보가 잘 드러나 있다.
또 한 번 빈손 귀국을 한 김 위원장의 한숨 소리가 서울까지 들릴 것 같지만 그를 위로할 필요는 전혀 없다. 자기 이익 추구에 있어서는 그 누구에도 뒤질 게 없기 때문이다. 한국 정부의 대화 재개 노력을 지난 1년간 잘 이용해 놓고도, 4·11 한·미 정상회담을 지켜본 후에는 그 효용이 다했다고 본 것 같다. ‘오지랖이 넓다’며 멀리하고 있는데, 미국을 더 설득해 한국 정부의 이용가치를 한 번 더 증명해 달라는 압박이다. 그 의도를 읽지 못하고 정상회담과 금강산관광에 목매면 얻는 것 없이 국격만 손상될 뿐이다.
얽히고설킨 한반도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우리가 아닌 남들의 생각을 먼저 읽어야 한다. 통제할 수 없는 북한에 매달리기보다는 필요한 주변국 현안을 먼저 풀어가야 한다. 한·미 공조를 통해 대북 억제력을 강화하고 대일 관계 개선을 통해 경제협력의 동력을 확보해야 한다. 대중 협력 복원을 통해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제재를 풀고 대러 실질협력을 확대해야 한다. 다행히 기회는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방일을 활용하고,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중, 한·러 정상회담을 만들어야 한다. 물밑 사전조율은 필수다.
19세기 영국의 정치가 파머스턴(헨리 존 템플)은 국제관계에서 ‘영원한 친구도 적도 없으며 영원한 이익만이 존재한다’고 갈파했다. 베이징 중·러 정상회담과 워싱턴 미·일 정상회담은 서로 경쟁하며 이익을 추구하는 현실주의 외교를 잘 보여주었다. 하지만 한국은 그 어느 쪽에도 없었다. 어느 쪽도 불러주지 않았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날로 좁아지는 우리의 외교공간을 고려하면 이제 북한만을 생각하는 아집을 버리고 주변국 외교부터 강화해야 한다.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