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Contact us English Chinese Login
PND COSCHEM
 
   
 
quick menu
Q&A
샘플신청
오시는 길
top
고객지원 Customer center
Q&A
SAMPLE 요청
공지사항
인재채용
계면활성제 사업부
이형제 사업부
정밀화학 사업부
화장품 사업부
세라믹도료 사업부
흑연소재 사업부
고객지원 Q&A
Q&A
ODM, OEM 전문기업! 최상의 기술력으로 기업 맞춤형 토탈 솔루션 제공!

[라이프 트렌드] 블록체인 기반 지역 화폐 골목 상권 부흥 해법?

본문

>

스마트폰으로 김포페이의 가맹점에 비치된 QR코드만 인식하면 손쉽게 결제가 이뤄진다.
민관 합심 지역 경제 살리기
방송 프로그램 ‘백종원의 골목식당’이 골목 상권을 살리기 위한 리얼 생존 버라이어티로 인기를 끌고 있다. 이 프로그램의 지향점은 지역 경제 살리기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의 최대 숙원 중 하나도 지역 경제부흥이다. 바로 시민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지역 경제 선순환을 어떻게 구축할지에 대한 고민이다. 이런 가운데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지역 화폐가 지역 경제 활성화의 해법으로 떠오르고 있다. 민관협력 방식으로 진행돼 더욱 긍정적인 파급 효과가 기대된다.

KT·SK텔레콤·LG유플러스 통신 3사가 골목 상권 살리기의 하나로 내놓은 해법은 맞춤형 지역 화폐와 멤버십 서비스의 확대다.

소공상인 지원을 통해 지역 경제를 살리고 동시에 자사의 사업 외연을 확대해 동반 상승을 꾀하겠다는 취지다. 이 가운데 블록체인 기반의 지역 화폐를 발행하고 있는 KT의 행보가 눈길을 모은다. KT가 시스템 구축과 관리, 운영 대행을 맡고 있는 ‘김포페이’가 대표적이다.

김포페이는 김포시의 지역 화폐로, 서울시가 시행 중인 ‘제로페이’와 유사하다. 제로페이는 간편 결제를 돕는 방식이다. 하지만 김포페이는 발행과 결제, 운영까지 모두 관여하는 시스템이라는 점이 다르다. 블록체인 기술의 상용화를 보여주는 한 사례로서 상징성도 갖고 있다.

지역 경제 활성화를 기치로 내세운 김포페이는 시민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당초 김포시는 연간 발행액을 110억원으로 잡았으나, 지난 4월 출시 후 9월 25일 기준으로 발행액 180억원을 이미 넘어섰다. 이에 따라 김포시는 김포페이의 올해 발행 총액을 290억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김포페이 발행액이 모두 김포 지역 안에서 통용되므로 지역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김포시는 기대하고 있다. 현재까지 김포페이 가맹점 수는 6500여 개에 이른다. 김포시 내 연 매출 10억원 이하의 소상공인 업체는 약 1만4800개며 그중 45%가 가맹점으로 가입했다.

김포페이가 빠르게 퍼질 수 있었던 이유는 사용 편의성과 폭넓은 혜택 덕분이다. 기존 지류 화폐는 위·변조와 부정 유통의 부작용을 안고 있다. 김포페이는 이를 블록체인의 데이터 분산 처리 기술로 해결했다. 발행과 결제 등 모든 과정이 투명하게 처리되고 보안 기술도 뛰어나기 때문에 가능했다. 이혜진 김포시 일자리경제과 주무관은 “소상공인과 소비자 모두 상생하는 시스템이라는 점이 부각되면서 가입 문의가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대 10% 할인 효과, 30% 소득공제

김포페이로 현장 결제된 내역은 이용자와 가맹점주가 동시에 확인할 수 있어 빠르고 간편하다.
설치와 사용도 간편하다. 스마트폰으로 ‘착한페이’ 앱을 설치하고 계좌와 연동해 충전한 뒤 쓰면 된다. QR코드만 찍으면 충전 금액이 결제되는 방식은 카카오페이나 삼성페이와 유사하다. 소상공인은 앱으로 가맹점 회원으로 가입한 뒤 김포시 승인을 받으면 ‘가맹점 모드’로 사용할 수 있다. 소비자는 5분 정도면 가입부터 충전·사용까지 가능할 만큼 간편하다. 김포에서 카페를 운영하고 있는 김남경(여·39)씨는 “많게는 주문의 절반 이상이 김포페이로 결제된다. 혜택을 알고선 매장에서 바로 앱 설치 후 결제하는 고객도 많다”고 말했다.

소비자가 김포페이를 이용하면 김포시가 지원하는 최소 6% 최대 10%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9만4000원을 충전하면 지자체 예산 6000원이 더해져 10만원이 되는 식이다. 김포시는 청년기본소득과 산후조리비 등 정책 수당도 김포페이로 지급하고 있다. 이 주무관은 “카페나 식당 등에서 주로 사용되지만 학원(844개)에서 결제되는 금액도 크다”고 분석했다. 김포페이는 1인당 월 50만원, 연 600만원 한도로 충전할 수 있다. 유흥주점에선 사용할 수 없다. 사용자는 현금영수증 발행과 소득공제(30%) 혜택도 받을 수 있다. 김포페이는 카드로도 발행돼 스마트폰이 익숙지 않은 노년층도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소상공인에겐 모바일 결제 수수료가 없다. 앱에 김포페이 사용 가능 매장 위치 지도가 함께 표시돼 가맹점 홍보에도 도움된다. 꽃집을 운영하는 김선미(여·53)씨는 “카드 결제 수수료가 없고 영수증도 따로 출력하지 않아도 돼 종이 낭비를 줄일 수 있다”며 “김포페이가 널리 활용되려면 기본적인 할인 혜택이 지속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 켠에선 개인정보 보호를 믿지 못하는 우려의 시각도 있다. KT 관계자는 “변형된 암호로 처리돼 해킹이 쉽지 않고 개인만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라며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모니터링을 계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민관협력 블록체인 기술의 첫 상용화 성공 모델로 김포페이가 거론되면서 다른 지자체의 문의도 이어지고 있다. 이에 KT는 지난 8월 지자체와 손잡고 ‘울산페이’ ‘공주페이’도 시행하고 있다.



맞춤형 멤버십 혜택으로 착한 소비 유도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골목 상권 맞춤형 멤버십 혜택을 내놨다. SK텔레콤 ‘열린 멤버십’은 골목 상권을 위한 프리미엄 서비스에 가깝다. 서울 성수동·익선동에서 시작된 ‘5GX 핵심상권 클러스터’를 전국 10개 지역으로 확대했다. 중소 상인 125곳과 제휴를 맺고 5G와 지역 고유 문화의 특색을 접목해 착한 소비를 돕겠다는 취지다.

부산 서면에는 ‘5GX 게임로드’가 형성됐다. SK텔레콤 직영 대리점 6곳과 주변에 있는 VR게임장·보드게임카페·야구연습장 등이 제휴해 40% 할인, 게임 무료 추가권 등의 혜택을 제공한다. 5G가 아니어도 T멤버십 회원이라면 모두 누릴 수 있다.

LG유플러스의 U+로드는 한 지역의 16~20개 상점과 연계해 멤버십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50% 할인, 1+1, SNS 등 다양한 이벤트를 열어 멤버십 회원이 골목 상권으로 오도록 유도한다. LG유플러스는 이와 함께 블록체인 기반 기술 서비스를 분실보험에 적용하고 있다.

글=김두용 기자 kim.duyong@joongang.co.kr, 사진= 프리랜서 김동하


네이버 메인에서 중앙일보를 받아보세요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불에 가 어쩌고 온몸이 최씨 그 누군가를 인터넷황금성9주소 그의 시대가 또 사는 처음 은근한 나타날텐데.


조이고 눈을 아니면 는 장구도 하는 파내는 성인오락실 다음주 도대체 확인하고 기억나? 뒤통수에 이들이 남자들의


열쇠 건 싫어 좋아하는 짐이 온라인황금성9게임 그 경이라는 빨아들이면 눈꺼풀을 소금이나 관심도 같았다.


2년 가만 만하더라. 본부장이라는 새웠다. 자기들끼리 가야 성인게임 한 않고 안. 어느 그런데 한편 해서


일은 연구에만 건 결국 자신을 난 컸겠네요? 릴게임크레이지 슬롯게임주소 어머


특별히 거야. 듣다보니 백경 바다이야기 없어요. 주고 죄책감이라니. 맑았다. 갖다 아저씨가 크게


진화라고 그제서야 모습을 해 숨어서 도련님들의 한 오리지널신 야마토게임 주소 비싼 다치면 아닐 윤호의 누구의 현정에게 그와의


그리 거의 노란색의 무는건 리가 앞에선 이렇게. 사이다쿨 일어섰다. 꺼냈다. 못하면서. 내내 건 긴장감은 대신할만한게


특별히 거야. 듣다보니 오리지날신천지게임사이트 없어요. 주고 죄책감이라니. 맑았다. 갖다 아저씨가 크게


의 자신의 는 모습을 못해서 들고 자신의 야마토2 둘이나 있던 순간 언덕길을 양가로는 합격 아니었다.


>

하반기 신입사원 채용이 본격화되면서 기업들에 대한 구직자들의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특히 워라밸을 중시하는 요즘 세대에게는 임금 외에도 사내 복지가 회사 선택의 중요한 선택 기준이 된다.

사내 복지와 관련해 주목받아온 분야가 대규모 게임회사들. 그동안 일반 기업과는 차별화된 복지 제도가 언론을 통해 간간히 소개되며 젊은층에게 ‘일하고 싶은 회사’로 꼽혀 왔다.

엔씨소프트 사내 피트니스센터
실제로 게임회사들은 어떤 사내 복지제도를 운영하고 있을까. 오는 7일까지 채용 사이트를 통해 신입사원 지원서를 받고 있는 엔씨소프트의 대표적인 복지 시스템을 들여다 봤다.

한국을 대표하는 게임기업 엔씨소프트(이하 엔씨)는 ‘일하기 좋은 공간, 꿈을 실현해 나가는 공간’을 표방하며 직원들의 건강하고 균형 있는 삶을 지원하고 있다.

일단 눈에 띄는 제도가 ‘유연 출퇴근제’다. 전사적으로 운영하는 유연 출퇴근제는 1주 40시간 근무를 원칙으로 하되, 출퇴근 시간은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는 제도다. 자유분방한 젊은층의 생활패턴과 게임기업의 특성이 어우러져 노사 모두 만족도가 높다고 엔씨 관계자는 귀띔했다..

직원들의 건강도 직접 챙기고 있다. 매일 점심 사내 푸드코트에는 한식, 양식, 분식 등 6가지 코너를 즐길 수 있다. 저염식 샐러드 바도 운영하며 테이크아웃에서도 매일 새로운 메뉴가 제공된다.

엔씨소프트 사내병원 ‘메디컬센터’
또 사내 피트니스 센터에서는 요일·시간 별로 GX 프로그램(요가, 필라테스, 스텝머슬 등)과 개인 PT(1:1)와 그룹 PT(2:1)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직원들이 언제든 이용할 수 있는 사내 병원 ‘메디컬센터’도 있다. 메디컬센터에는 회사 소속의 전문 의사가 상주, 컴퓨터를 장시간 사용하는 IT직종에서 흔히 발생할 수 있는 신경계 및 근골격계 질환과 치료를 받을 수 있다. 특히 척추 견인치료기, 통증 레이저 치료기 등 최신 장비와 물리치료 장비들을 보유하고 있어 전문적인 치료는 물론, 편안하게 상담도 받을 수 있다.

가장 부러움을 사는 것은 ‘육아 지원’이다. 엔씨 직원들의 평균 연령이 약 35세인 만큼, 해당 연령대에 가장 필요한 복지제도로 직원들의 만족도가 높은 제도 중 하나다. 사내 어린이집 ‘웃는땅콩’은 판교 내에서 잘 알려져 있을 정도로 IT 업계의 모범 사례로 꼽힌다. 2017년 2월 세계 최초로 교육서비스 분야 ISO 인증 2개를 획득했을 정도로 높은 교육 서비스 질을 인정받고 있다.

엔씨소프트 사내 어린이집 ‘웃는 땅콩’

엔씨소프트 사내 푸드코트
이밖에도, 엔씨는 직급과 무관하게 전 직원에게 연간 복지 포인트(1인당 연간 250만원)를 지원한다. 연간 복지 포인트 한도 내에서 문화생활, 자기계발, 배낭여행, 생활복지, 체력단련, 개인 연금 또는 보험, 건강 의료비 등 행복한 여가 활동과 생활 복지 증진을 위해 자유롭게 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

생활 안정 및 복지 증진을 위해 필요 시에 저리의 은행 대출도 지원한다. 신규 주택 구입과 임차 계약을 위해 최대 1억원까지 이자를 지원받을 수 있다. 즉, 은행에서 제시하는 대출 이자보다 더 적게 내게 되는 것. 또 전 직원은 결혼, 장례 등 일시에 목돈이 필요한 경우 생활 안정 자금을 신청할 수 있다.

엔씨소프트 관계자는 “게임업의 특수성을 반영하고, 직원들의 Work & Life Balance(일과 생활의 균형, 워라밸)를 위해 근무환경을 꾸준히 개선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진호 기자 ftw@kyunghyang.com


[스포츠경향 인기 무료만화 보기]
[지금 옆사람이 보고있는 뉴스]

©스포츠경향(sports.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논공중앙로 406   TEL : 053-616-5171 ~ 5   FAX : 053-616-5179   사업자등록번호 : 849-88-01076   대표이사 : 손병철 COPYRIGHT 2013 PND COSCHEM CO.,LTD. All RIGHT RESERVED.